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화요일의 21입니다. 여러분! 오늘은 조금 특별한 주제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가끔 블로그 글을 쓰다 보면 무엇을 써야 할지 막막할 때가 있는데요. 저도 오늘 그런 상황에 부닥쳐서 새로운 시도를 해봤습니다. 실은 저번에도 해보긴 했어요. 바로 사진에 부연 설명을 덧붙이는 것입니다. 단, 그 부연 설명을 제가 아닌 AI, 챗GPT가 해주는 겁니다. 솔직히 이런 글 누가 보겠느냐만, 일단 챗GPT의 실력이 어떤가 싶어서 해보기로 했습니다. 그저 자기만족용입니다. 제가 선택한 사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전에 제가 찍은 사진입니다. 일반적인 설명과 시크하면서 시니컬한 설명을 요청했습니다.
1시간 만에 챗GPT 100만 명 신규 사용자 확보!
주간 활성 사용자가 12월 3억 명에서 33% 증가, 4억 명 달성!
딥시크 따위에 환호해서 놀랐다
참고로 이 글은 최근 챗GPT가 시끌벅적하기도 하고, 챗GPT를 검색해서 들어오는 사람들이 하도 많아서 써봅니다. 챗GPT가 세상을 바꿉니다. 챗GPT가 돈 벌어주네요. 최근 기사를 보니까 서초구가 행정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려고 전 부서에 유료 챗GPT를 도입한다더군요. 예전에는 복잡한 절차와 긴 대기 시간 때문에 시민들이 불편함을 느꼈다면, 이제는 AI가 그 과정을 간소화하여 빠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을 겁니다.
무료 버전입니다. 무료 버전은 제한이 있습니다. 제한이 초과하면, 'GPT-4o의 Free 플랜 한도에 도달했습니다. 채팅에 첨부 파일이 있으므로 계속하려면 GPT-4o이(가) 필요합니다. PM 21:47 후에 한도가 초기화됩니다. PM 21:47 후에 한도가 초기화될 때까지 응답에 다른 모델이 사용됩니다.' 이런 식으로 메시지가 뜹니다. 현재 17:39입니다. 챗GPT 결제해야겠어요. 챗GPT 20달러... 200달러...
일반적인 설명입니다.
이 사진은 겨울철 아파트 단지 주변의 풍경을 담고 있습니다. 눈이 쌓여 있는 언덕과 계단이 보이며, 주변에는 나무들과 아파트 건물들이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사진 중앙에는 장식이 있는 문과 입구가 있으며, 빨간색 표지판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곳은 아파트 단지 내 공원이나 산책로의 입구일 가능성이 큽니다.
시크하면서 시니컬한 설명입니다.
음, 그냥 평범한 겨울 아파트 풍경이네. 눈 좀 쌓였고, 계단 있고, 아파트야 뭐 똑같이 생겼고. 저 입구 같은 건 공원 입구겠지, 아니면 그냥 장식용 게이트거나. 딱히 특별한 건 없어 보이는데, 뭐가 궁금한 거야?
정말 놀랍지 않습니까? 상당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보여줍니다. 무료 버전이 이 정도라면, 유료 버전에서는 어떤 설명이 나올까요?
좀 더 감성적이거나 문학적인 표현이 추가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예를 들면, "눈이 소복이 내려앉은 계단 위로 겨울바람이 스치고 지나간다. 나무들은 차가운 바람에 몸을 움츠리며, 아파트 단지는 조용히 겨울을 품고 있다. 붉은색 표지판은 이곳이 어딘가로 이어지는 길임을 알려주지만, 그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 정도면 꽤 문학적인 분위기를 풍길 수도 있겠죠. 하지만 뭐, 결국 "눈 쌓인 아파트 단지"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겠지만요. 참고로 위의 답변도 무료 버전입니다. '좀 더 감성적'부터 답변입니다.
일반적인 설명입니다.
이 사진은 펜스와 기둥 사이에 묶여 있는 작은 봉제 인형을 담고 있습니다. 인형은 파란색과 흰색의 펭귄 모양이며, 머리에는 노란색 장식이 달려 있습니다. 인형은 밧줄로 고정되어 있으며, 일부는 철망 사이로 빠져나온 모습입니다. 배경에는 주차된 차량들이 보이며, 사진은 야간이나 저녁 시간대에 촬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적으로 약간의 쓸쓸한 분위기가 느껴지지만, 동시에 귀여운 요소도 포함된 장면입니다.
시크하면서 시니컬한 설명입니다.
이건... 감옥에 갇힌 펭귄인가? 아니면 탈출을 시도하다 걸린 건가? 펜스랑 기둥에 꽉 묶여 있는 걸 보니 누가 일부러 이렇게 둔 거 같은데, 표정은 억울한 건지 멍한 건지 모르겠네. 뒤에는 주차된 차들, 분위기는 밤... 전체적으로 뭔가 애매하게 웃기고, 동시에 좀 쓸쓸한 느낌도 나. 이거 그냥 장난으로 둔 걸까, 아니면 잃어버린 인형을 누가 이렇게 걸어둔 걸까?
챗GPT가 아닌 뤼튼도 시도해 봤습니다.
이 사진은 한 귀여운 인형이 울타리에 묶여 있는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인형의 표정은 호기심 가득하지만, 현실은 그리 자유롭지 못한 상황을 암시합니다.
설명 1개 (시크하고 시니컬한): 이 인형, 귀여운 외모로 세상을 속이려 하지만, 결국에는 울타리에 갇혀버린 슬픈 아이콘. 진정한 자유는 저 멀리, 인형의 미소 뒤에 감춰져 있다.
뤼튼의 답변도 꽤 마음에 듭니다. 뤼튼은 현재 무료로 제공되니, 챗GPT(일부 무료 사용 가능, 제한 있음)가 유료라 부담스럽거나, 관심 있으신 분들은 시도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챗GPT가 뤼튼보다 답변이 좀 깁니다. 일단 뤼튼이 사용에는 제한이 없습니다만, 챗GPT보다는 설명을 좀 길게 해줘야 얘가 알아듣습니다. 그냥 쉽게 말해서 챗GPT는 개떡처럼 말해도 알아듣고, 뤼튼은 그러면 답변이 미흡합니다. 다만 챗GPT 무료 버전도 제한 걸리면 그러기는 하는데, 그래도 답변이 자연스럽습니다. 그렇지만 매번 같은 답변을 하는 것도 아니고 뤼튼도 자연스러운 답변을 해줍니다. 최근 기사를 보니 뤼튼이 AI 플랫폼으로 국내 최초로 누적 투자액 1,000억 원을 돌파했다더군요. 개선의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아래부터는 챗GPT의 답변만 넣었습니다.
일반적인 설명입니다.
이 사진은 작은 피규어를 중심으로 촬영된 이미지입니다. 피규어는 검은색 머리에 붉은 리본을 묶고 있으며, 초록색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손에는 빨간 튤립을 들고 있으며, 의상은 전통적인 느낌이 나는 디자인입니다. 앞쪽에는 흐릿한 키보드가 보이며, 배경은 어두운 분위기 속에 빛나는 보케 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시크하면서 시니컬한 설명입니다.
작은 피규어 하나가 화면 중앙에 자리 잡고 있다. 커다란 초록색 눈, 빨간 리본, 그리고 손에 든 튤립. 앞쪽은 흐릿한 키보드, 뒤쪽은 뭔가 몽환적인 보케. 의도적으로 아트 느낌을 주려는 듯한 사진인데, 피규어가 이걸 원했을지는 모르겠군.
일반적인 설명입니다.
사진은 Somersby 망고 & 라임 스파클링 사이다 캔을 클로즈업하여 촬영한 장면이다. 캔은 오렌지와 녹색이 조화를 이룬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과일 그림이 그려져 있어 상큼한 느낌을 강조한다. 배경은 흐릿하며, 파란색과 녹색 조명의 빛이 반사되어 있다.
시크하면서 시니컬한 설명입니다
망고, 라임, 스파클링. 뭔가 청량하고 달콤한 이미지를 떠올리게 만들지만, 결국 이건 그냥 탄산 들어간 술이다. 그렇게 감성적으로 포장한다고 해도 본질은 변하지 않지.
이러한 방식으로 사진에 대해 AI가 설명을 덧붙이는 것은 생각보다 흥미로운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일반적인 설명과 시크하면서 시니컬한 설명을 비교해 보니, 각각의 시각에서 사진을 다르게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이 재밌네요.
한쪽에서는 객관적으로 사진을 설명했고, 다른 한쪽에서는 인간적인 시각으로 접근했습니다. 첫 번째 방식은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사진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세부 사항을 빠르게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반면, 두 번째 방식은 사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인형이 감옥에 갇힌 듯한 느낌이라든지, 혹은 누군가가 잃어버린 인형을 일부러 저곳에 묶어두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사진 속 이야기를 상상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차이를 보고 나니, 앞으로도 블로그에 사진을 활용할 때 AI를 이용한 다양한 해석을 시도해 보는 것도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예를 들어, 같은 사진이라도 챗GPT에 감성적인 시각, 유머러스한 시각, 철학적인 시각 등 다양한 스타일로 설명을 부탁하면 색다른 콘텐츠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그건 그렇고 이 분석 능력이 정말 놀랍습니다. 인형 머리에는 노란색 장식이 달려 있긴 한데, 작아서 저거까지 분석할 줄은 몰랐거든요. 사진은 야간이나 저녁 시간대에 촬영된 것도 맞고요. 참고로 무료 버전이다 보니 버전이 다소 낮음에도 저런 분석을 해주니 놀랍습니다. 놓칠 수 있는 세세한 부분까지도 분석해 주는 모습에 얼마나 발전할지 기대도 됩니다.
앞으로도 이런 시도를 계속해 보려 하는데, 결제했으니 본전 뽑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모저모] 챗GPT로 만든 What's in my bag 실험기 (14) | 2025.04.04 |
---|---|
[이모저모] 이걸 진짜 AI가? - 지브리는 못 해도, 피규어는 해봤다, 챗GPT 이미지 결과물 모음 (10) | 2025.04.03 |
[이모저모] 방문자 통계 또 오류… 짜증 난다! (4) | 2025.03.31 |
[이모저모] AI가 그린 그림, 더 정교해지고 자연스러워진 예술? (14) | 2025.03.29 |
[이모저모] 카메라, 니콘 ZF, 제펙 머신으로 색감을 담다 (20) | 2025.03.26 |
- 블로그 방문자
- 댓글
- 애드고시
- 검색
- 이모저모
- 블로그 수입
- 블로그로 돈 벌기
- 웹 폰트
- 챗gpt
- 블로그 방문자 늘리기
- 글씨체
- 방문자
- 단톡방
- AI그림
- 수입
- 블로그
- 돈
- 통계
- 카톡
- 마우스
- 회사
- 게임
- 티스토리
- 카카오톡
- GTA FIVEM
- 네이버
- Ai
- 글쓰기
- 구독
- 방문자 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otal
- Today
- Yesterday